본문으로 건너뛰기

윤리적으로 짜낸 러그로 더 나아지는 미래

핸드메이드 러그는 예쁘지만, 러그를 직조하는 근로 환경은 대개 좋지 못하며, 직원들이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IKEA는 제조업체들과 협력하여 핸드메이드 러그의 품질과 느낌은 살리는 한편 근로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고, 실제로 방법을 찾았습니다.

하얀색, 파란색, 회색, 겨자색의 러그 가장자리를 짜고 있는 인도 수공예가의 손.

인도의 수제 러그가 IKEA에 오기까지

IKEA가 협력업체와 함께 인도와 방글라데시에서 생산한 수공예 러그 작업 방식을 개선하면서 좋은 품질을 유지하고, 환경에 더욱 신경 쓰고, 일하기 좋은 환경을 보장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더 나은 환경, 더 나은 제품

좋은 근로 환경과 공정한 임금으로 핸드메이드 러그를 만드는 것이 서로에게 윈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직조공은 주문과 작업, 수입을 꾸준히, 그리고 예상 가능한 형태로 받을 수 있게 되었죠. 중개인을 배제하고, IKEA 행동수칙과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직조센터로 이를 대체했습니다.

전통 드레스를 입은 인도 직조공 3명이 러그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열악했던 과거의 카펫 직조 환경

인도와 방글라데시에서는 전통적으로 러그 직조를 부업으로 여겨왔습니다. 가정 또는 규제되지 않은 공장에서 주로 작업하는 직조공들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한 작업량을 견뎌내야 했죠. 이러한 환경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대부분의 이익을 얻는 것은 중개인이었습니다.

흰색 실이 감긴 직조기의 나무 갈빗살.

FY25까지 성비 50:50 달성

수제 직조 산업계에는 예로부터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인도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교육과 역량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그래서 IKEA의 공급업체들은 여성에게 안전한 근로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IKEA의 공급 기반에서 근로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45%입니다.

밝은 색의 전통 드레스를 입고 장신구를 두른 인도 직조공 4명이 실외에서 웃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
밝은 색의 옷을 입은 여러 명의 인도 여성이 바깥의 러그에 앉아 있는 모습. 뒤쪽에는 헛간과 소가 보여요.

임금 및 혜택 개선

먼저 직조공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임금과 휴가, 교통비 등의 복지 혜택을 받으며 정기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연수생들이 일을 배우며 보수도 받을 수 있는 학교 두 곳을 세웠죠.

집과 가까운 일터 만들기

우리의 목표는 직조공 및 기타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집과 가족을 떠날 필요가 없도록, 사는 곳 가까이에 직조센터를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여성에게 맞춘 작업 과정

작동 시 물리적인 힘이 적게 드는 베틀을 개발하여 직조 과정도 변화시켰죠. 덕분에 여성도 직조공이 되어 직장과 경제적인 안정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필요한 사람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새 베틀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전통 문양으로 수를 놓은 상의를 입은 직조공의 손으로 직조기에서 흰색 러그를 만드는 모습.

협력으로 전문성 유지하기

IKEA는 직조공의 근로 조건을 개선함으로써 핸드메이드 러그의 독특한 전문 기법을 누구나 배울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KEA는 공장 내 직조공들과 협력하여 지역의 다채로운 전통과 수공예가의 기술을 담아낸 직조 디자인 컬렉션을 홍보하는 활동을 하고 있어요.

모든 핸드메이드 러그 보러 가기
회색, 검은색, 흰색의 TANNISBY 탄니스뷔 러그 위에 올려 놓은 고리버들 의자.
거친 질감의 콘크리트 바닥 위, HALVED 할베드 러그에 올려 놓은 또 다른 HALVED 할베드 러그.
모든 핸드메이드 러그 보러 가기
동으로 만든 팔찌를 찬 인도 직조공이 손으로 직조기에서 러그를 짜는 모습.
저는 예전에 교사였지만, 직조공에 지원했어요. 지금은 새로운 기술을 배워서 수입이 더 좋아져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됐어요.

Shashi Devi직조공